728x90
제조업에 일하다 보면 필요한 제품원가명세서 공유합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제품의 원가는 생산에 필요한
자재비, 가공비가 필요합니다
만약 거래처에서 물건 구매 시 제품의 원가를 분석하게 되면
상생을 위한 거래처의 이윤도 보장해줘야 하기 때문에
판관비 및 이윤항목에 업체의 마진을 보장해야합니다 보통 10% 정도는 해주는 듯합니다
그리고 가공비 부분의 ST는
실제 작업에 필요한 소요시간입니다
만약 1시간 동안 40개의 가공이 가능하면 개당 가공시간은 1.5분(60/40=1.5)이 되고
노무비는 분당 급여를 책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일당 12만 원 기준 (계산상 편의를 위해)
시급 1.5만 원 1분당 급여는 250원입니다.
즉, 가공 1번 작업에서 제품 1개 가공을 위해 1.5분이 필요한데 분당급여는 250원이니
총 375원의 가공비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가공 2, 가공 3, 조립 1, 조립 2 등등
순도 100%의 제품 생산을 위해 필요한 금액 산출 후
판관비에 거래처가 회사 운영을 위한 비용을 넣고 이윤 등을 넣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그럼 제품의 원가 분석이 가능해지고
판매를 위한 적정가 산출이 가능해집니다
물론 산업군이나 제품에 따라 판관비, 마진율은 달라지겠지만
제조업의 경우는 남는 게 없느니깐 최대한 타이트하게 잡아야... 시장성이 있으니깐...
비번은 3000
728x90
'공개-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수 명칭의 차이 (샤워코롱, 오드코롱, 오드뚜알렛, 오드퍼퓸, 퍼퓸) (0) | 2024.08.03 |
---|---|
노트북 뚜껑 덮어도 사용 가능한 방법(클램쉘 모드) (0) | 2023.03.05 |
1일차 복습: R스튜디오 기본 코드 및 사용방법 (0) | 2023.03.01 |
1일차 복습: R의 대한 개념 설치 방법 (0) | 2023.03.01 |
여자배구 연봉 순위 TOP20은 누구?!(2020-2021시즌) (0) | 2020.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