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4장의 핵점 내용은 데이터프레임
1.데이터 프레임 생성
데이터 프레임을 만드는 2가지 방법
첫 번째, 변수를 만든 후 합쳐서 표 만들기
두 번째, 처음부터 표를 만들면서 그 속에 변수 넣기
물론, 이 두 가지 외에도 데이터 불러오기라던지 등등 방법은 많으니 가장 기본적인 거만..
2. 파일 불러오기 / 내보내기(저장하기)
https://shuoshi.tistory.com/233
3장에서 언급한 것처럼
파일 불러오거나 내 보낼 때는 별도 패키지가 필요하기도 함,
주로 사용하는 게 엑셀과 CSV파일이니..
파일 불러오기 / 저장하기 (readxl / writexl 패키지 필요)
파일 불러오기 (엑셀) : read_excel(”파일명. xlsx”)
sheet가 여러 개 일 때는 sheet 넘버 입력 : read_excel(”파일명. xlsx”, sheet=3)
파일저장하기 (엑셀): write_xlsx(데이터, ”파일명. xlsx”)
**csv도 확장자만 다르고 동일함.
728x90
'공부 >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 워킹 디렉토리 변경 방법(폴더 변경) (0) | 2023.07.09 |
---|---|
R 개념정리 5장 - 데이터분석(str(), table함수, ifelse함수) (0) | 2023.03.09 |
R 개념정리 3장 - 변수의 이해(paste함수, 패키지함수) (0) | 2023.03.09 |
2일차 복습: 데이터전처리 과정(summarise함수, group_by함수) (0) | 2023.03.03 |
2일차 복습: 데이터전처리 과정(arrange함수, mutate함수) (0) |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