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자료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우리 아기 숨 쉬기 힘들다면?

왕감자 머니랩장 2025. 2. 5. 09:19
728x90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이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은 미숙아에게 주로 발생하는 폐 질환으로, 폐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호흡이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신생아의 폐에서 표면활성제가 부족할 경우 폐포가 쉽게 닫히면서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RDS의 원인

RDS는 주로 조산(임신 37주 이전 출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미숙아 출생(34주 이전): 폐 발달이 충분하지 않아 발생 위험 증가
  • 산소 부족 상태: 출산 중이나 출생 직후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 산모의 당뇨병: 태아의 폐 발달이 지연될 가능성 증가
  • 제왕절개 출산: 자연 분만보다 폐액 제거가 덜 되어 발생 위험 증가

RDS의 주요 증상

  • 빠르고 얕은 호흡
  • 숨을 쉴 때 가슴이 움푹 들어감(늑간함몰)
  • 콧구멍을 벌름거리는 호흡(비익호흡)
  • 입술이나 손발이 푸르게 변함(청색증)
  • 신음하는 듯한 소리를 냄

RDS의 진단 및 치료

의료진은 신생아의 증상과 산소 포화도를 확인하고, 흉부 X-ray 촬영을 통해 RDS 여부를 진단합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 공급: 신생아에게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도와줍니다.
  • 표면활성제 투여: 폐포가 닫히는 것을 막기 위해 폐 표면활성제를 투여합니다.
  • 양압 호흡 치료(CPAP): 폐를 확장하여 신생아가 보다 쉽게 호흡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인공호흡기 사용: 심한 경우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호흡을 보조합니다.

 

RDS 예방법

  1. 임신 기간을 최대한 유지하기: 조산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산전 관리를 받으세요.
  2. 스테로이드 주사 사용: 조산이 예상될 경우, 태아의 폐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을 수 있습니다.
  3. 건강한 임신 생활 유지: 균형 잡힌 식사와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합니다.
  4. 출산 전 철저한 건강 검진: 고위험 산모라면 의사와 충분히 상담하고 출산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은 미숙아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예비 엄마들은 조산 예방과 건강한 임신을 위해 충분한 정보를 숙지하고, 출산 전 철저한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